강원도 산간 지역은 계곡 등 소규모 취수원에 의존하고 있어, 가뭄이 발생하면 식수 부족을 겪는 일이 일어나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가뭄에도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모래 저장형 댐, 이른바 샌드댐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45가구가 옹기종기 모여 사는 강원도의 한 산간마을. <br /> <br />주민들은 계곡에서 내려오는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염원이 없어 물이 깨끗하지만, 계절에 따라 수량의 변동이 심해 그동안 물 걱정이 끊이질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용춘식 / 강원도 물로리 주민 : 비가 와서 장마지면은 그때는 문제가 없는데 가물면 이제 물이 마르니까 고통을 겪고, 밥할 때만 이제 열었다가 잠갔다….] <br /> <br />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은 97.5%에 이르지만 나머지 2.5%의 소외지역은 가뭄이 오면 물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가뭄이 와도 최소 10일 이상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모래저장형 댐, 이른바 샌드댐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저는 지금 샌드댐 위에 서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겉으로 보기엔 마른 모래표면이지만 조금만 파보면 물이 가득 차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샌드댐은 모래에 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, 크기가 다른 3종류의 모래와 자갈을 차례로 쌓아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수가 없는 지역에 샌드댐으로 인공 지하수를 만든 셈입니다. <br /> <br />샌드댐은 물을 모래층에 저장하기 때문에 증발을 막고 거의 얼지도 않아 가뭄이 와도 안정적으로 물 공급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샌드댐 건설로 이 지역에는 하루 190톤의 물을 마을로 공급할 수 있게 됐는데, 모래층의 자연 여과 기능으로 수질 개선의 효과도 얻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일문 / 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(샌드댐 안에) 작은 구멍이 나 있는 파이프를 설치해서 물을 모아 기존 관로에 연결하는 체계가 맞춰져 있고요. 모래 입자가 파이프에 끼어서 흐름을 방해하지 못하게 하는 필터팩스크린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한 상태입니다.] <br /> <br />이번에 개발한 샌드댐은 올해 말 춘천시에 이관돼 영구적으로 관리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식수를 자연 계곡에서 얻는 지역은 전국에 600여 곳. <br /> <br />연구진은 상수도 설치 비용의 10% 수준이면 샌드댐을 만들 수 있으며, 실증 실험까지 마친 만큼 전국의 다른 물 소외지역에도 샌드댐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92505590833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